본문 바로가기
건축물

포르투갈 리스본 바스코 다 가마 타워: 경제 재생의 상징과 숨은 이야기

by organic-son 2025. 4. 28.

포르투갈은 15세기 대항해 시대를 이끌던 시기에는 세계 경제의 중심에 있었습니다. 그러나 20세기 후반, 경제 침체와 정치적 불안정으로 인해 리스본을 비롯한 주요 도시들은 쇠퇴를 겪었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리스본시는 1998년 세계 박람회(Expo 98)를 개최하고, 이를 계기로 대대적인 도시 재생 프로젝트를 추진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탄생한 바스코 다 가마 타워는 단순한 랜드마크를 넘어, 경제와 사회 구조 전반에 걸친 변화를 이끈 상징물이 되었습니다.

포르투갈 리스본 바스코 다 가마 타워

바스코 다 가마 타워의 탄생 배경

세계 박람회와 도시 재생 전략

1990년대 초 리스본 동부 지역은 산업 폐허 지역으로 남아 있었습니다. 이를 되살리기 위한 프로젝트로 1998년 세계 박람회가 유치되었고, 박람회의 상징적 구조물로 바스코 다 가마 타워가 설계되었습니다. 타워의 디자인은 항해선을 형상화하여 포르투갈의 역사적 자긍심과 미래에 대한 비전을 동시에 표현하고자 하였습니다.

건축적 특징과 기능

바스코 다 가마 타워는 145미터 높이로 지어졌으며, 당초에는 박람회 기간 동안 방문객들을 위한 전망대와 레스토랑으로 활용되었습니다. 설계는 포르투갈의 리우 카스타와 영국의 닉 제이콥스가 공동으로 맡았으며, 현대적 기술과 상징성을 조화롭게 결합하였습니다. 박람회 종료 이후에는 고급 호텔로 리모델링되어 리스본 관광 산업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경제적 영향과 사회 변화

1. 지역 경제 활성화

바스코 다 가마 타워를 중심으로 한 테주 강변 지역 개발은 리스본 경제에 중대한 전환점을 가져왔습니다. 박람회 이후 이 지역은 고급 주거지, 상업 시설, 국제 컨벤션 센터 등이 들어서며 경제적 중심지로 부상하였습니다. 주요 효과 리스본 동부 지역 부동산 가치 2.5배 상승 관광객 수 40% 증가 20만 개 이상의 일자리 창출 이러한 변화는 리스본을 다시 유럽 경제 지도에 올려놓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2. 도시 이미지 변화

기존의 낙후된 항구 도시 이미지를 벗어나, 리스본은 첨단 기술과 현대적 문화를 아우르는 글로벌 도시로 탈바꿈하였습니다. 바스코 다 가마 타워는 리스본을 대표하는 현대적 상징물로 자리 잡으며, 글로벌 투자자와 스타트업의 관심을 끌어들이는 데 기여하였습니다.

알려지지 않은 진실

1. 박람회 이후 남은 부채 문제

Expo 98는 성공적으로 개최되었지만, 준비 과정에서 과도한 예산 집행으로 인해 박람회 종료 후 리스본시는 막대한 부채를 떠안게 되었습니다. 박람회 비용은 당초 예산을 크게 초과하여 국가 재정에도 부담을 주었고, 일시적으로 포르투갈 내 여론의 비판을 초래하였습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테주 강변 지역 개발과 관광 산업 활성화로 인해 부채 상환이 가능해졌으며, 도시 경제에 긍정적인 장기 효과를 남겼습니다.

2. 타워의 호텔화 결정

박람회 종료 이후 바스코 다 가마 타워는 전망대 운영만으로는 수익을 내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리스본시는 민간 자본 유치를 통해 타워를 고급 호텔로 리노베이션하는 방안을 추진하였습니다. 2012년 완공된 "Myriad by Sana Hotels"은 현재 리스본에서 가장 인기 있는 럭셔리 호텔 중 하나로 자리 잡았으며, 도시 관광 수익 증대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일부에서는 "공공 자산의 민영화"라는 비판도 제기되었지만, 결과적으로는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습니다.


바스코 다 가마 타워는 단순한 박람회용 구조물이 아닌, 리스본 경제 재생 전략의 핵심 축으로 기능하였습니다. 초기에는 재정적 부담과 운영 문제로 논란이 있었지만, 장기적인 도시 발전 측면에서는 분명한 성공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 사례는 랜드마크 건축이 단순한 외형적 상징을 넘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도시 이미지를 전환시키는 데 있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앞으로 다른 도시들도 건축 프로젝트를 추진할 때, 경제성, 지속 가능성, 사회적 공공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