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은 도면으로 말하고, 건축주는 그 언어를 읽어야 한다.”
처음 집을 짓거나 리모델링을 계획할 때 가장 많이 마주하게 되는 벽은 '전문 용어'입니다.
설계사무소나 시공업체와 상담을 하다 보면, 입면도, 용적률, 일조권, 이격거리 같은 생소한 단어들이 쏟아져 나오죠.
이해하지 못하고 넘어가면, 결과적으로 설계의 방향을 잘못 이해하거나, 불필요한 비용이 추가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집짓기 초보자라면 꼭 알아야 할 건축 설계 기본 용어 20가지를 쉽고 명확하게 설명합니다.
1. 왜 건축 용어를 알아야 할까?
건축은 도면과 법규, 기술의 조합입니다.
그렇기에 설계나 시공은 전문가 중심으로 진행되기 쉽습니다. 그러나 건축주는 결코 방관자가 되어선 안 됩니다.
🔎 건축 용어를 알아야 하는 이유:
- 👷♂️ 설계안을 정확히 이해하고 의견을 낼 수 있음
- 💰 비용 견적서를 이해하고, 불필요한 추가공사 방지
- 🏠 시공 중 발생할 수 있는 변경사항에 능동적으로 대응 가능
“몰랐어요”라는 말은 집 짓기에서 가장 비싼 대가를 부릅니다. 기본 용어를 이해하면 그만큼 불확실성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힘이 생깁니다.
2. 꼭 알아야 할 건축 설계 용어 20가지
아래는 집짓기 초보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주요 설계 용어 20가지입니다.
도면을 읽고, 시공사와 대화하며, 실제 집의 구조와 환경을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개념들입니다.
용어의미활용 맥락
평면도 | 건물을 위에서 내려다본 구조도 | 방의 배치, 동선 파악에 사용됨 |
입면도 | 건물 외관을 정면/측면에서 본 그림 | 외관 디자인 확인 시 참고 |
단면도 | 건물을 수직으로 자른 모습 | 층고, 천장 높이, 내부 구조 파악 |
용적률 | 전체 바닥면적 ÷ 대지면적 × 100 | 몇 층까지 지을 수 있는지 판단 기준 |
건폐율 | 건축 면적 ÷ 대지면적 × 100 | 마당·정원 확보량을 결정함 |
일조권 | 이웃의 채광을 방해하지 않을 권리 | 건물 높이 및 위치 제한 요소 |
이격거리 | 건물과 대지 경계선 사이의 거리 | 소방, 통풍, 프라이버시 보장 목적 |
내력벽 | 구조를 지지하는 벽 | 철거 불가, 변경 시 구조검토 필요 |
비내력벽 | 단순 공간 구분용 벽 | 구조에 영향 없으며 철거 가능 |
구조체 | 하중을 지탱하는 기본 틀 (기둥, 보 등) | 건물의 안전성과 직결됨 |
창호 | 창문과 문을 포함한 개구부 시스템 | 단열, 환기, 소음 차단에 영향 |
단열재 | 열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막는 재료 | 난방 효율과 에너지 비용에 영향 큼 |
방수층 | 물이 스며드는 것을 막는 층 | 욕실, 옥상, 지하공간에 필수 요소 |
기초공사 | 건물 하부를 지지하는 지반 작업 | 전체 건물 안정성의 출발점 |
감리 | 설계자가 시공 상태를 감시하는 업무 | 부실 공사를 막기 위한 절차 |
준공 | 모든 공사가 끝나고 사용승인 받는 절차 | 입주 전 필수 행정 단계 |
설계변경 | 설계 도면을 변경하는 절차 | 예산·공기 조정과 직결됨 |
협의사항 | 관공서나 전문가와 조율이 필요한 항목 | 허가·승인과 연결되는 필수절차 |
스팬(span) | 기둥 없이 이어지는 거리 | 넓은 공간 설계 시 고려 요소 |
용도지역 | 땅의 용도 제한 (주거/상업/공업 등) | 건축물의 규모·용도에 영향 줌 |
3. 실전에서 이런 용어는 어떻게 쓰일까?
실제로 건축 현장이나 설계 미팅에서 위 용어들은 다음과 같이 사용됩니다:
- 📐 설계자: “이 단면도를 보시면 층고가 2.8m로 설계돼 있습니다.”
- 👷♂️ 시공사: “이 벽은 내력벽이라 구조를 건드릴 수 없습니다.”
- 🏢 관청: “건폐율이 60% 이하로 유지돼야 건축 허가가 가능합니다.”
이처럼 용어 하나의 이해 여부에 따라 당신의 집이 어떻게 지어질지, 어떤 비용이 추가될지가 결정될 수 있습니다.
4. 용어를 아는 것이 ‘안전한 집짓기’의 시작
건축은 복잡하고 어려운 과정이지만,
기본 용어를 아는 것만으로도 절반은 성공한 셈입니다.
🏠 이 글에서 소개한 20개 용어는 집 짓기의 ‘문해력’을 높여주는 기초 도구입니다.
이해하고, 질문하고, 비교하고, 결정할 수 있어야 진짜 당신의 집이 만들어집니다.
“좋은 집은 좋은 설계에서 시작되고,
좋은 설계는 ‘이해’에서 시작된다.”
앞으로 더 많은 실용 정보와 함께
당신의 집짓기 여정을 돕겠습니다.
'건축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라진 건축을 복원하는 기술 ― 디지털 복제 시대의 공간 기억 (0) | 2025.05.15 |
---|---|
건축을 기록한다는 것 ― 사진은 공간의 기억을 어떻게 만드는가 (0) | 2025.05.14 |
건축은 자연을 복제하는가 ― 숲과 바람, 물을 모방한 공간 설계 (0) | 2025.05.13 |
건축은 시간을 통제한다 ― 공간이 흐름을 설계하는 방식 (0) | 2025.05.12 |
건축은 놀이가 될 수 있을까? (0) | 2025.05.11 |